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국 아파트 13주 연속 하락, 전세는 상승

by Dwater 2024. 2. 24.
반응형

침체된 부동산 시장에 관망세가 이어지면서 전국 아파트 가격이 13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반면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전셋값은 상승세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부동산원의 보도자료를 토대로 전국 아파트 매매 및 전세 흐름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아파트 매매시장

 

▷ 아파트 전세시장


 

 


▷ 아파트 매매시장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이 2월 22일에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지난주(-0.04%) 대비 -0.05%로 하락하면서 13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습니다.

 

 

지난주의 -0.04% 대비하여 하락폭은 더 커졌는데 서울(-0.03%)과 수도권(-0.04%), 지방(-0.05%) 모두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서울은 -0.03%로 지난주와 동일한 하락폭을 유지했는데

 

 

지난주 보합으로 전환했던 송파구는 단지별 상승과 하락이 혼재되는 상황에 0.01% 상승 전환했고

 

 

양천구와 광진구가 0.00%로 하락세를 멈췄지만 나머지 구는 모두 전주 대비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기 지역은 평균 -0.06%의 하락률을 기록했는데 안양 동안구(-0.16%), 과천(-0.16%), 안성(-0.15%), 고양 일산서구(-0.14%), 시흥시(-0.14%) 등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반면 교통 호재가 있는 고양 덕양구(0.18%)와 김포(0.02%)에서는 상승세가 이어졌습니다.

 

 

인천에서는 서구(0.01%)가 교통 호재로 4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으며 부평구(0.01%)도 상승 전환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부동산원은 급매물 위주로 매수문의가 존재하나 가격 격차가 좁혀지지 않아 관망세가 지속 중인 상황에서 

 

 

지역별 상승/하락 혼재되며 간헐적 급매물 거래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의견을 남겼습니다.

 

 

지방에서도 전체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는데 이 속에 충남 논산(0.03%)은 작년 9월부터 25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 눈길을 끌었습니다.

 

 

국방 특화 국가산업단지 조성 계획 승인과 KTX 신연무대역 신설 등의 호재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반응형

 


▷ 아파트 전세시장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출처 : 한국부동산원)

 

매매흐름과 달리 전국 아파트의 전셋값은 전주 0.01% 대비 0.02%로 상승폭을 확대하며 상승 기조를 이어갔습니다.

 

 

특히 서울은 작년 5월 넷째 주부터 40주 연속, 수도권은 작년 6월 넷째 주부터 35주 연속 상승세가 이어지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에 대해 부동산원은 매매시장 관망세 장기화로 인해 매매 대기 수요가 전월세 수요로 지속 전환되며

 

 

지역 내 학군/신축 대단지 등 선호단지 위주로 상승거래가 발생하며 상승세가 지속되었다고 의견을 더했습니다.

 

 

서울은 0.04%로 상승폭이 전주(0.05%)에 비해 다소 줄어들었지만 성동구(0.22%), 광진구(0.11%), 은평구(0.09%), 용산구(0.07%), 강북구(0.07%), 영등포구(0.07%) 등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부동산원에 따르면, 성동구(0.22%)는 금호/행당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며, 광진구(0.11%)는 구의/광장동 위주, 은평구(0.09%)는 응암/불광동 대단지 위주, 용산구(0.07%)는 이촌/서빙고동 위주, 강북구(0.07%)는 미아/번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했다고 전했습니다.

 

 

인천에서는 서구(0.11%)와 연수구(0.11%) 등이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는데 서구(0.11%)는 청라/심곡동 위주로, 연수구(0.11%)는 청학/송도동 위주로 올랐다고 합니다.

 

 

경기에서는 수원 영통구(0.26%), 부천 오정구(0.25%), 고양 덕양구(0.22%) 등이 큰 상승폭을 보였던 반면에

 

 

안성시(-0.17%), 파주시(-0.16%), 과천시(-0.11%)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