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 값이 온스당 2000달러를 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 금 값이 앞으로 2000달러대에서 머물거나 사상 최고치를 달성할 수 있다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현재 금 값이 얼마큼 올랐는지 그 상황과 함께 이번에 금 값 상승의 배경으로 작용한 요인에는 무엇이 있었는지 알아보고 앞으로 금에 대한 투자는 어떤 시선으로 바라봐야 할지 같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금 값 최근 현황
▷ 금 값 상승의 배경
▷ 금 값 최근 현황
지난밤인 30일 뉴욕 상품거래소에서 금 값이 온스당 2000달러를 넘은 2005.6달러에 마감하였습니다. 국내 금 값도 최근 한 달 시세에서 10월 5일 78,900원에서 어제 86,700원대까지 상승했는데 현재 고금리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이는 쉽게 이해되는 상황은 아닙니다.
최근 미국 국채금리가 많이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국채 금리가 올라가면 금 가격은 내려가는 모습을 보입니다. 국채는 보유할 경우 매년 이자도 주고 만기 때는 원금을 찾을 수도 있는 상품이지만 금은 가지고 있더라도 이자나 배당을 받는 상품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시중 금리가 높을 때 금은 보유 자산으로써 선호도가 낮은 편인데, 현재 고금리 상황에서 금 값이 이렇게 오른다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올해 금 수익률은 대표적인 지수 상품인 S&P 500 지수 수익률을 넘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는데 지난 7일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한 후 금 값이 약 9% 상승했는데 이 기간 S&P 500 지수 수익률은 7%대 수익률을 보였다고 합니다.
▷ 금 값 상승의 배경
그러면 이러한 금 값 상승의 배경에는 어떤 이유가 있는지 알아보면 현재 보도되는 내용으로는 안전자산을 찾는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합니다.
지정학적인 문제가 발생하면 안전자산인 금값이 오르는 경향이 있는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때도 그랬고 이번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도 이번 금값 상승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됩니다.
그러면 이렇게 오른 금 값이 계속해서 유지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쪽과 반대하는 쪽의 입장은 각각 다릅니다.
- 금 값 지속 상승 전망 : 미국 정부가 미국 국채를 계속해서 파는 중이고, 국채를 판 돈으로 위안화 방어도 하며 금도 사들이고 있다. 하여 미국 정부에서 계속 금을 살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최근 일본의 현금 부자들도 떨어지는 엔화가치를 헷지 하기 위해 금을 사고 있다는 소식도 배경으로 설명
- 금 값 하락 전망 : 미국의 고금리가 생각보다 오래 이어질 것이며 금은 이자 같은 수익이 없기에 고금리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금을 계속 가지고 있는 것은 기회비용의 상실을 의미. 따라서 시간이 지나면 금에 투자했던 돈들이 다시 다른 투자처로 이동할 것을 전망
자산으로 금에 대한 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분들도 있을 텐데 이런 지정학적 리스크는 전망을 예상하기 어렵고 예측불가능한 일들이라서 실제 금에 투자하여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가지고 운용할 수 있는 투자법이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되새겨 봅니다.
최근 중동 이슈와 함께 금에 대한 전망에 같이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