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나라 인구 감소 유럽 흑사병의 3배 수준

by Dwater 2023. 12. 7.
반응형

최근 뉴욕타임스의 한 칼럼에서 우리나라의 인구 소멸 속도가 14세기 중세 유럽의 흑사병 창궐 때 보다 3배가량 빠르다는 비유가 나오면서 인구 소멸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인구 감소의 심각성은 이미 인지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감소 수준이 외국에서 보기에도 사례를 찾기 힘들 정도임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오늘은 우리나라의 인구 감소 현황과 뉴욕타임스의 칼럼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우리나라 인구 감소 현황

 

▷ 뉴욕타임스 칼럼 내용

 

▷ 지적된 원인/배경


 

 


▷ 우리나라 인구 감소 현황

통계청의 집계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은 0.78명이었다고 합니다.

 

 

출산율이 2017년까지 간신히 1명 이상을 유지해 오다가 2018년에 0.98명으로 1명 밑으로 추락했으며, 이후 지속해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2019년 : 0.92명
  • 2020년 : 0.84명
  • 2021년 : 0.81명

출처 : 네이버 검색

 

올해 3분기 출산율은 0.7명으로 지난해 평균인 0.78명 보다 더 추락했습니다. 

 

 

통상 연말로 갈수록 출생아 수가 감소하는 점을 고려하면 올해 4분기에는 출산율이 처음으로 0.6명대로 떨어질 것으로 우려가 되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OECD 꼴찌 수준으로 세계은행 통계를 보면 21년 기준 인구 1000명당 태어난 사람의 비율이 5.1명 수준으로 OECD 회원국 평균인 11명보다 2배 이상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올해 말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이 사상 첫 0.6명대로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 뉴욕타임스 칼럼 내용

로스 다우서트(Ross Douthat)라는 칼럼니스트가 최근 '한국은 사라지는가?(Is South Korea Disappearing?)이라는 제목의 칼럼을 뉴욕타임스에 실었습니다. 

 

 

<많은 언론에서 제목을 '한국은 소멸하는가'라고 번역했지만 저는 직역 그대로인 '한국은 사라지는가'가 더 와닿는 번역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칼럼에서 그는 한국의 합계출산율을 소개하며 흑사병 창궐로 인구가 급감했던 14세기 중세 유럽 시기보다 더 빠른 속도로 한국의 인구가 감소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한국은 선진국들이 안고 있는 인구감소 문제에 있어서 두드러진 사례 연구 대상국이라고 하며 한국의 3분기 출산율인 0.7명 통계를 중세 유럽에 비유한 것입니다. 

 

 

칼럼에서 그는 "이 수준의 출산율을 유지하는 국가는 한 세대를 구성하는 200명이 다음 세대에 70명으로 줄어들게 된다"며 이 같은 인구감소는 흑사병으로 인한 인구감소 수준을 능가한다고 했는데

 

 


14세기 중세 유럽에서 흑사병으로 인한 정확한 사망 통계는 집계되지 않았지만 학계에선 흑사병으로 인구 10명 중 5~6명이 사망한 지역이 적지 않았다고 보고 있습니다. 

 

 

감소한 인구로만 보면 4억 5000만 명에서 14세기를 거치며 3억 5000만 명 수준으로 인구가 줄었는데 즉, 흑사병으로 한 세기 동안 줄어든 인구가 22.2%에 달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다우서트가 설명한 인구 감소 시나리오에 따라 우리나라의 현재 출산율이 유지될 경우 한 세대가 지나면 인구의 65%가 줄어들게 되어 흑사병 대비 3배가량 빠른 인구감소가 나타나는 셈입니다.

 

 

이와 함께 북한의 남침 가능성도 제기했는데 현재 합계출산율 1.8명인 북한이 우리나라 인구가 계속 이렇게 감소한다면 어느 시점에 남침을 선택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추가로 불가피한 노인 세대의 방치, 광활한 유령도시와 황폐화된 고층빌딩, 고령층 부양 부담에 젊은 세대의 해외 이민이 나타날 것이라는 경고도 덧붙였습니다.

 

 

다만, 그는 이처럼 낮은 한국의 출산율이 앞으로 수십 년 동안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하며 칼럼의 모든 전망이 그대로 실현되기만 할 것은 아님을 나타냈습니다.

 

 


▷ 지적된 원인/배경

이러한 우리나라의 저출산에 대한 배경으로 지적된 내용들이 있어 살펴보면, 

 

 

입시경쟁 문화가 언급되었습니다. 학생들을 학원으로 몰아넣은 지나친 입시경쟁이 부모의 불안과 학생의 불행을 조장한다고 하며 가족생활을 잠재적 불행으로 만든다고 했고

 

 

보수적 한국 사회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반란과 그에 반발해 나타난 남성들의 반페미니즘이 남녀 간 극심한 대립을 남기고

 

 

인터넷 게임 문화 등 한국 젊은 남성을 이성보다 가상의 존재에 빠져들게 한 것이 혼인율 하락으로 어이 졌을 수 있다고 다우서트는 언급 했습니다. 

 

 

또 다른 이유로는 혼외 출산을 인정하지 않는 보수적인 문화도 언급하며,

 

 

연령 피라미드가 급속히 역전됨에 따라 급격한 경제 쇠퇴를 받아들이거나 이미 서유럽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있는 이민자 수를 훨씬 뛰어넘는 규모로 이민자를 받아들이려는 노력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봤습니다.

 

 


우리나라의 인구 감소가 단순히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문제임을 외신에서도 주목하는 것에서 알 수 있었습니다. 

 

 

인구 감소로 인한 문제가 심각함을 알고 있었지만 북한의 남침까지 외신에서 언급되니 다시 한번 진지하게 사회가 나아질 방법을 고민해야 할 계기가 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