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1.0% 코로나 수준?

by Dwater 2023. 10. 23.
반응형

최근 국제신용평가사 중 한 곳인 피치에서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발표했는데 이 수치에 대해 비관적으로 봐야 하는지 긍정적으로 봐야 하는지에 대한 뉴스가 많습니다. 

 

 

오늘은 피치에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을 1.0%로 한 배경과 함께 우리 경제와 밀접한 영향이 있는 중국의 경제 상황 그리고 우리 경제 전망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피치의 경제 성장률 전망 : 1.0%?

 

▷ 중국 경제 상황 및 전망

 

▷ 중국의 현재 부동산 경기

 


 


▷ 피치의 경제 성장률 전망 : 1.0%?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한 곳인 피치(Fitch)에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1.0% 성장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우리 정부의 전망치인 1.4%보다도 낮은 수준이며 다른 신용평가사 전망치 중에서도 가장 낮은 평가 결과입니다. 

*3대 신용평가사 : 피치(Fitch), 무디스(Moody's),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1.0%는 IMF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그리고 코라나 수준의 수치로 굉장히 낮은 수준인데 피치에서 이렇게 전망한 이유로는 우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국 경제가 안 좋은 상황, 반도체 수출 부진 그리고 금리가 많이 올라 소비가 안 되는 점을 꼽았습니다. 

 

 

사실 최근 경제 분석에서 이는 모두 언급되었던 이야기지만 이를 반영해서 경제성장률이 1.0%라는 것은 생각보다 안 좋을 것으로 예상한다는 의견이 깔려있다고 보이며, 우리 정부는 여전히 상반기엔 어렵고 하반기엔 풀린다는 의견이지만 시장 전망 역시 쉽지 않아 보인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 중국 경제 상황 및 전망

부정 전망 요인 중 우리나라 경제와 밀접하게 관련이 되어 있는 중국의 경제 상황을 살펴보면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이 발표되었는데 시장 전망치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중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3분기 대비 4.9%로 시장 전망은 4.2~4.5% 수준이었으나 전망보다 높게 발표되었는데 이는 중국의 내수 소비가 살아난 영향이 컸습니다. 

 

 

중국 정부에서 7월부터 관광과 소비를 살리겠다며 다른 나라로 향하는 단체 관광 규제를 풀었고 이를 통해 항공업계 고용이 늘어나면서 여행으로 인한 소비가 살아났고, 중국에서 발행했다는 소비 쿠폰도 영향이 있었다고 합니다. 

 

 

여기에 4분기에 중국 국경절 연휴가 있고 11월에는 중국 최대 쇼핑성수기라는 광군제도 있어 내수 경제가 회복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별 다른 요인이 없다면 중국 정부가 예상하는 올해 경제성장률 예상치인 5%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낮게 본 요인 중 하나가 중국 경기였는데 이러한 소식은 우리로서는 좋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소비가 살아난 다는 것은 제품의 수요가 는다는 의미기 때문에 수출에서 나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우리나라 경제 전망에도 생각보단 나아지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품게 합니다. 

 


▷ 중국의 현재 부동산 경기

이와 함께 중국 경제에서 상당히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부동산 경기 상황을 살펴보면 중국 정부는 국민들에게 집을 사라고 금리도 깎아주고 걸림돌이 되는 규제들도 완화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중국 부동산이 이미 과잉공급의 문제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 정부의 대책이 부동산 시장을 끌어올리는 게 쉽지 않아 보이며, 18일에 발표된 중국 1~9월 부동산 현황을 보면 부동산 투자가 전년대비 많이 줄었고 신규 주택착공도 많이 줄었다고 합니다. 

 

 

여기에 비구이위안, 헝다와 같은 대형 부동산 개발업체가 언제 파산할지 모른다는 점이 불안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비구이위안은 사실상 디폴트 수준에 들어간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 디폴트에 빠지게 될 경우 중국 부동산 전체 위기로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의 경제 성장이 우리나라의 수출과 연관되어 있어 중국의 경제 상황 및 성장을 지켜보는 것이 우리의 전망과도 관련이 되어 있지만 최근 중국이 성장하면 국산화도 많이 이뤄져 이제는 따로 살펴봐야 하는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이 낮고 부정적이지만 중국의 경제 상황을 지켜보면서 우리나라의 산업 전망을 살펴보는 계기도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보며, 고금리 상황 속에 경제 여건이 조금이라도 나아지길 기대해 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