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들이 전문건설공제조합에 청구하는 보증금의 규모가 커지면서 건설업계 일각에서는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4월 위기설이 현실화하는 것 아닌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앞서 관리가능한 수준이라며 4월 위기설에 대해 일축했는데 걱정은 쉽사리 사라지지 않는 모양새입니다.
오늘은 건설사 위기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건설사 4월 위기설
▷ 건설사 4월 위기설
최근 전문건설공제조합에 보증금 청구 규모가 크게 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건설사 4월 위기설이 돌고 있습니다.
전문건설공제조합이란 현재 6만 개가 넘는 건설사가 가입해 있는 건설업계 보증금융 기관으로
건설사가 공사를 수주받아 시작하기 전에 '조합원사'로 보증에 가입하며
건설경기 악화 등의 사유로 공사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아 공사대금을 못 받는 경우 전문건설공제조합에 보증금을 청구합니다.
따라서 이 보증금 청구 액수는 건설 현장의 경기와 직접 관련돼 있어 업계 상황을 알려주는 지표로써 상당한 의미가 있습니다.
24일 전문건설공제조합에 따르면 지난해 보증금 청구액은 2354억 원으로 전년보다 23.1% 늘었으며
보증금 청구액은 21년 1531억 원, 22년 1912억 원 등으로 최근 3년간 매년 20%대의 증가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서는 보증금 청구액 상승세가 이어지는 것은 물론 상승폭 마저 확대되는 모양새인데
현재 보증금 청구 증가세가 글로벌 금융위기가 불거진 2008년에 우상향 곡선을 그렸던 당시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는 우려가 내부에서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집니다.
최근 시공 순위 100위권 안팎의 중견 건설사들이 잇따라 법정관리를 신청했고, 업계에서는 정부가 4월 총선 뒤 부동산 PF 구조 조정에 들어갈 수 있다는 말도 나오면서
부실 PF 사업장 정리가 본격화되면 건설업계가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이 직접 나서서 4월 위기설은 전혀 없다며 부동산 PF와 관련된 위기설에 대해 일축했습니다.
금감원과 금융위도 모두 나서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는데
사실 여부를 떠나서 당국 입장에선 위험이 전이되는 것을 막아야 할 필요성도 있습니다.
이러한 불안감 확산은 안 그래도 부동산 시장 침체로 자금조달이 어려운 건설사들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 말대로 관리 가능한 수준일 수는 있지만 시장의 불안감은 쉽사리 가시지 않고 있는데 이는 회사채 시장에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지난달 한라그룹 계열의 시공능력 30위권 건설사인 HL D&I가 자금조달을 위해 채권시장에서 700억 원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하려 했는데
단 한 건의 주문도 들어오지 않으며 결국 회사채 발행을 주관했던 증권사 6곳이 이를 떠안았습니다.
해당 회사채 이자가 8%나 되고 시공능력이 30위권임에도 시장에서는 상당히 불안하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이 외에도 반토막난 주가에서도 이런 상황을 알 수 있는데
대우건설, GS건설, 현대건설 등의 주가는 22년 대비 반토막 수준의 상황이며 특히 시장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태영건설 워크아웃 진행 상황이 순조롭지 않습니다.
<관련 이전 글 : 태영건설 상장 폐지 위기, 자본잠식 해소 가능?>
태영건설 상장 폐지 위기, 자본잠식 해소 가능?
부동산 PF 문제로 워크아웃을 진행 중인 태영건설이 상장 폐지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이 전해집니다. 자본잠식이 문제가 되고 있는데 오히려 워크아웃이 자본잠식을 야기했다는 의견도 있고 궁
dwater.tistory.com
당초 10일까지 태영건설의 59개 사업장 중 지속할 사업장과 정리할 부실 사업장을 결정하자고 했는데 못하고 미뤄지고 있으며
부실 사업장 정리 계획이 나와야 추가 대출에 대한 진전이 있을 텐데 진행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로인해 갈수록 건설사들이 돈을 구하지 못하는 유동성 리스크는 커지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위험을 더 감수하고 부동산 PF 사업장에 돈을 대던 증권사도 상황이 만만치 않아 졌습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S&P가 부동산 PF 불확실성을 이유로 우리나라 1, 2위 증권사인 미래에셋, 한국투자증권의 신용등급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조정한 것입니다.
결국 이로 인해 다소 위험을 감수하고 나서던 증권사들도 이제는 몸을 사리게 되면서 건설사들의 자금조달은 더욱 어려워진 상황에 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