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이 알트코인 중 처음으로 승인을 받으면서
올 하반기 미국 증시에 이더리움 현물 ETF가 상장하게 됐습니다.
암호화폐 대장인 비트코인에 이어 이더리움도 제도권 금융으로 들어오게 됐는데
오늘은 이더리움 현물 ETF에 대한 소식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미 SEC,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 우리나라는 여전히 금지
▷ 미 SEC,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현지시간 23일 블랙록 등 8개 자산운용사가 제출한 "이더리움 현물 ETF" 상장 심사 요청서를 승인했습니다.
지난 1월 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을 승인한 지 4개월 만입니다.
이로써 이더리움은 알트코인(비트코인 외 암호화폐) 중 처음으로 제도권 금융에서 인정받는 자산이 되었습니다.
다만 실제 이더리움 현물 ETF가 상장하기까지는 수개월이 걸릴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에서 ETF를 출시하려면 SEC로부터 19B-4와 증권신고서(S-1)를 모두 승인받아야 하는데
아직 이더리움 현물 ETF는 증권신고서 승인을 받지 않았습니다.
통상 증권신고서 승인에 3개월 이상 소요됨에 따라 올 하반기에 거래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알트코인의 현물 ETF 승인에 대한 전망은 밝지 않았기에
이번 SEC의 결정에 대해 시장에서는 의외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달리 '스테이킹'이라는 기능이 있어 증권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입니다.
스테이킹이란 개인이 보유한 이더리움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맡기면 보상을 주는 일종의 예금 제도입니다.
미 SEC가 이더리움 현물 ETF를 승인한 배경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꼽히는데
첫 번째는 운용사들이 이더리움 현물 ETF에서 스테이킹 기능을 완전히 없애 증권성 논란을 해소했고
두 번째는 정치적인 이유라는 분석으로
11월 대선을 앞두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친 가상자산 행보를 보이자
바이든 행정부도 기존의 강경한 입장을 뒤집었다는 분석입니다.
지난 22일 미 하원에서 가상자산에 친화적인 '21세기 금융혁신 기술법'이 통과했는데
가상자산을 금지의 대상에서 관리의 대상으로 삼자는 쪽으로 입법 트렌드가 바뀌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는 여전히 금지
다만 국내 투자자는 미국 증시에 상장된 이더리움 현물 ETF를 투자할 수 없을 전망입니다.
우리 금융당국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현물 ETF 거래를 금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국은 지난 1월 미 증시에 비트코인 현물 ETF가 상장하자
"국내 증권사들이 해당 ETF 거래를 중개하는 것은 자본시장법 위반 소지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당국의 입장은 암호화폐 현물 ETF가 활발히 거래되는 주요 선진국과 대조적인 상황입니다.
미국뿐 아니라 캐나다, 독일, 스위스, 브라질 등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상장됐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조치로 투자자 선택의 폭을 제한하는 것은 자유로운 시장경제 원칙과 상충된다며 우려를 꾸준히 제기하고 있습니다.
선진국의 흐름에 비춰 우리나라에서 가상화폐 현물 ETF 거래가 이뤄지는 것은 시간문제가 될지
아니면 계속해서 선진국의 흐름과는 대조되는 모습을 보일지 알 수 없지만
별다른 일이 없다면 거래를 금지하기로 명분을 지속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관련 이전 글 : 미 SEC,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발표>
미 SEC,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발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현지시간 10일 비트코인 현물 ETF(상장지수펀드)의 상장과 거래를 승인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증권거래위원회 SNS 해킹으로 가짜뉴스 해프닝도 있었지만 이번
dwat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