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스라엘-이란, 소강상태로 접어드나?

by Dwater 2024. 4. 23.
반응형

이스라엘과 이란이 공습을 주고받으며 맞대응으로 전면전의 불안이 커지는 가운데

 

 

중동의 확전을 막으려는 국제사회의 노력에 이스라엘과 이란이 수위 조절에 나서며 소강상태로 접어들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스라엘과 이란의 공습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스라엘의 대응 공습

 

이스라엘의 의도

 

이스라엘, 라파 공격?


 

 


▷ 이스라엘의 대응 공습

이스라엘 공격 이전에 촬영된 이란 이스파한 공군 기지 위성사진(출처 : 연합뉴스)

 

뉴욕타임스가 입수한 위성사진에 따르면, 이스라엘이 쏜 미사일이 이란 중부의 이스파한 주에 있는 이란의 S-300 지대공 미사일을 공격하는데 성공했습니다.

 

 

S-300은 예전에 소련 시대에 개발한 러시아판 패트리엇 미사일로 

 

 

구체적으로 이스라엘이 어떤 무기를 사용했는지 지금 확인되지 않지만 외신 보도를 종합해 보면 

 

 

이스라엘이 드론과 미사일을 동시에 사용해 결국 목표했던 지점을 타격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란 이스파한 주(빨간점)

 

 

이스라엘에는 상당한 의미가 있는 공격으로 이란에 대한 공격 자체는 굉장히 제한적으로 이뤄졌으면서도 

 

 

이스라엘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원하면 이란의 방공망을 얼마든지 뚫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 이란은 이스라엘로부터 공격받았다는 것 자체를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란 외교부 장관은 인터뷰에서 애들 장난감 같은 드론이 날아와서 이란 상공에서 요격했고 아무런 타격이 없었으며

 

 

그 드론도 이스라엘과 연관성이 있다는 게 입증되지 않았다고 발표했습니다.

 

 

즉, 아무 위협도 없었고 이스라엘이 다시 보복 공격을 했다는 점도 인정하지 않은 것으로 

 

 

이란은 이스라엘을 향해서 다시 재반격할 의도가 없다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이란의 정확한 속내는 알 수 없지만 이스라엘의 이번 공격은 이란과의 추가적인 확전 가능성을 상당히 낮추면서도 군사적으로 자신들이 우위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뒤따릅니다.

 

출처 : 중앙일보

 

반응형

 


 이스라엘의 의도

이번 공습으로 이스라엘이 얻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지 눈길이 쏠리는데

 

 

네타냐후 총리 입장에서 이란의 영사관을 공격하기 전, 이스라엘 내부에서는 네타냐후 총리를 향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란과 갈등이 불거진 이후에 네타냐후 총리의 지지율이 급반등 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까지 네타냐후 총리의 지지율이 야당 지도자에 비해서 10%p 이상 뒤처지는 것으로 나왔는데

 

 

이스라엘과 이란의 갈등이 불거진 이후에는 지지율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네타냐후 총리의 지지율이 급반등 한 것입니다.

 

 

현재 지지율이 40% 수준으로 이번 하마스와의 전쟁 이후에 가장 높은 수준인데

 

 

내부의 불만을 외부로 돌린 측면도 있고, 이란에 맞설 수 있는 유일한 지도자라는 이미지도 만든 게 주효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이 모두 의도된 배경인지 확인할 순 없지만 결과적으로 네타냐후 총리가 이란과 갈등 이후 지지율 반등에 성공했다는 것은 분명합니다.

 

 


이 외에도 이스라엘이 얻어낸 것은 또 있는데 바로 미국의 지원입니다.

 

 

그동안 미국 바이든 정부가 이스라엘에 260억 달러, 약 36조 원 정도 되는 무기 지원금을 제공하는 예산안을 만들기는 했지만 계속 의회에 계류되어 있었습니다.

 

 

그동안 미국이 이스라엘에 지원하는 금액이 연간 38억 달러로 약 5조 원 정도였는데 거의 7배 수준으로 늘리는 엄청난 금액입니다.

 

 

바이든 정부는 이스라엘만 지원하지 말고 우크라이나, 대만 등을 지원하는 예산안과 패키지로 통과시키자는 입장이었고

 

 

하원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는 미 공화당은 이스라엘은 OK지만 우크라이나 지원은 반대라는 입장이었습니다.

 

 

그러면서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고 지지부진한 상황이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이번에 이스라엘과 이란에 전운이 감돌면서 미국 의회에서도 이스라엘을 빨리 지원해 줘야 한다는 여론이 급격히 높아졌고

 

 

이에 여야가 각 예산안을 패키지로 하지 말고 개별투표하자고 전격 합의하면서 바로 표결에 돌입했습니다.

 

 

결국 지난 주말 사이에 관련 예산안이 하원에서 전부 통과했고 

 

 

물론 상원 통과가 남았지만 지금 상원에서도 통과가 유력한 상황이기 때문에 미국 정부가 이스라엘에 전투기 같은 첨단 무기를 대규모로 지원할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이스라엘, 라파 공격?

출처 : 구글 지도

 

그동안 미국을 비롯한 국제 사회가 가자지구 최남단에 있는 라파 지역은 공격을 자제해 달라는 것이 이스라엘에 대한 요구였습니다.

 

 

이러한 요구에 이스라엘도 선뜻 라파 지역에 대한 공격에는 나서지 못했는데

 

 

최근 들어 이스라엘이 라파 지역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기 시작했습니다.

 

 

주말에도 라파 지역의 주거용 건물을 공격하면서 어린이와 임산부 등 민간인이 사망하는 일이 벌어졌는데

 

 

이에 라파 지역에 대한 이스라엘의 지상군 공격도 임박한 것 아닌가 하는 예상이 나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스라엘이 이란과의 확전을 자제하는 조건으로 라파 지역의 공격을 내걸었고 미국이 용인한 것 아니냐는 해석을 하기도 합니다.

 

 

이스라엘과 이란이 전쟁을 벌일 경우 국제 유가도 급등할 수밖에 없고 경제적 파장도 커지니, 이란과의 확전만큼은 절대 안 된다고 말릴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이스라엘은 이런 점을 이용해서 이란과의 확전을 자제할 테니 우리가 하마스를 정리하는데 더 이상 간섭하지 말라는 조건을 내건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관련 이전 글 : 이란, 이스라엘 미사일 공습. 중동 확전 위기>

 

이란, 이스라엘 미사일 공습. 중동 확전 위기

시리아에 있는 이란 영사관에 떨어진 미사일로 긴장감이 급격히 높아진 중동에서 결국 이란이 이스라엘에 미사일 공습을 감행했습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갈등으로 발발한 중동 전쟁에 이

dwater.tistory.com

 

<관련 이전 글 : 중동 전쟁 여파로 홍해 물류대란, 해상 운임 폭등 우려>

 

중동 전쟁 여파로 홍해 물류대란, 해상 운임 폭등 우려

예멘의 후티 반군이 홍해에서 민간 선박을 잇달아 공격하면서 홍해발 물류대란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다른 항로로 운행할 경우 운송 기간이 길어져 해상운임은 물론 육상, 항공 운임까지 덩달

dwater.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