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3

빌라 인허가 물량 역대 최저 침체된 부동산 시장으로 주택 건설 인허가 물량이 줄어들고 있는데  특히 빌라 인허가 물량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은 주택건설 인허가 상황과 빌라가 크게 줄어드는 배경은 무엇인지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택 인허가 물량 감소 ▷ 빌라가 더 줄어드는 배경  ▷ 주택 인허가 물량 감소고금리 환경 속 부동산 시장도 계속해서 침체를 겪고 있는데 이 영향으로 주택을 새로 짓기 위한 주택건설 인하가 물량이 크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1월부터 3월까지) 인허가 물량을 작년 1분기와 비교해 봤을 때  주택 인허가 물량이 전체적으로 약 23% 정도 감소했습니다.  지역으로 나눠보면 수도권 14%, 지방은 28% 감소한 것인데  아파트와 비아파트로 나눠보면 아파트는 20%, 비아파.. 2024. 5. 10.
안성, '미분양관리지역'지정..미분양 증가세 수도권에서 안성이 7개월 만에 미분양관리지역으로 다시 재지정되었습니다. 서울 중심으로 부동산이 일부 회복세를 보이는 모습도 나타났지만 여전히 지방을 포함해 수도권까지 부동산 찬바람이 지속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미분양관리지역에 대한 소식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미분양주택 여전히 증가세 ▷ 미분양주택 여전히 증가세 미분양 주택이 여전히 증가세를 보이며 수도권에서 7개월 만에 HUG(주택도시보증공사)가 지정하는 미분양관리지역이 나왔습니다. 15일 HUG에 따르면 아래 9곳이 10일부터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됐으며 적용 기간은 다음 달 9일까지입니다. 경기 안성 대구 남구 울산 울주 강원 강릉 충북 음성 전북 군산 전남 광양 경북 포항 경북 경주 수도권에서 미분양관리지역이 나온 것은 지난해 9월.. 2024. 4. 16.
부동산 임의경매 신청 11년 만에 최대?! 올해 들어서도 금리가 쉽사리 내리지 않는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대출금을 제때 갚지 못해 경매로 넘어가는 부동산이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경매로 넘어간 부동산 신청 건수가 11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고 하는데 오늘은 경매로 넘어가는 부동산에 대한 소식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경매 신청 11년만 최대 ▷ 지역별 경매 건수 ▷ 경매 신청 11년만 최대 지난달 금융기관이 부동산을 경매로 팔아달라고 법원에 요청한 신청 건수가 11년 만에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3일 법원 등기정보광장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집합건물인 아파트, 오피스텔, 다세대주택의 임의경매 개시결정등기 신청 건수가 총 5117건으로 전월 3910건 대비 30.8% 증가했습니다. 이는 월간 기준으로도 2013년 1.. 2024. 2. 14.